레이블이 유대인과 탈무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유대인과 탈무드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0월 18일 월요일

유태인에 대하여

1.유태인이란?
   1) 유대인  또는 유태인(猶太人)은 종교적인 의미에서는 유대교를 신봉하는 사람,
   민족적인 의미에서는 혈연 또는 개종을 통해 고대 히브리 민족의 후예가 된 유대 민족을 가리킨다
  2) 전 세계  1,400만 명에 인구수에 불과한 유대인은  탈무드를 어릴 때부터 교육받으며 성장했고,
     그 결과 세계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과학, 예술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수많은 인재들을 배출해 냈다.

2.유태인의 성공비결
  1) 유태인은 전 세계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과학, 예술등 모든 방면에 걸쳐 활동하고 있다.
     - 전세계 인구 중 0.3%를 차지하는 유대인이 노벨상의 30%를 차지했다.
     - 참고로 노벨 경제학상 수장자중 유태인 비율은 41%라고 한다.
     - 미국 100대 기업의 40%가 모두 유대인의 소유이다.
     - 세계 5대 메이저 식량 회사 중 3개가, 세계 7대 메이저 석유 회사 중 6개가 유대인의 소유이다.
     - 미국을 움직이는 3대 신문 뉴욕타임즈의 발행인 아서 셜츠버거,워싱턴포스트 명예회장 캐서린 그레엄 ,월스트리트저널 CEO 피터간 모두 유태인이다.
     - 할리우드 '7대 메이저 영화사'중 6개의 영화사(파라마운트, 20세기 폭스, MGM, 워너 브러더스, 콜럼비아, 유니버셜)가 유태인이 설립한 기업이다.

  2) 유태인들의 성공비결
     - 유태인들은 공부를 인생의 최대의 목표로 생각했으며, 이들이 가지고 있는 단 하나의 교과서및 생활 지침서는 바로 탈무드였다.
     - 유태인들의 성공비결을 뛰어난 머리가 아니라 그들의 뛰어난 교육방식과 뛰어난 결속력이다.
     - 유태인들이 머리가 좋은 것은 머리를 쓸수 밖에 없는 교육방식으로 인하여 두뇌계발이 이루어져 머리가 좋다.
     - 유태인들은 흩어져 살면서도  서로서로 상부상조하고 조직을 만들어 사회에 참여하는 것이 혈족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그래서 기부가 일상생활화가 되고, 조직으로 뭉쳐 공적 활동에 참여함으로 어떤 사회에서든지 적응력을 길려 성공하게 되었다.




탈무드에 대하여

1. 탈무드란 무엇인가?
    1) 유태인의 전통적 습관,법률,규율 등의 구전(口傳) 과 규율의 해설,토론과  교훈,생활의 지혜를 집대성한 책.
    2) <구약성서>가 씌여진 뒤 유태교의 법률, 전통적 습관, 축제, 민간 전송, 해설 등을 모아 편찬한 것으로 성서 다음으로 유태인들의 정신적인 지주가 되어왔다.
    3) 유태인들의 종교적 생활만이 아니라 법적 규정이나 판례법 까지도 포함되어 있으며, 오랜 세월(2000) 유랑 생활을 하며 박해받던 전 세계의 유태인들을 하나로 결속시켜준 맥으로, ‘유태인의 혼’과도 같은 것
    4) 유태인들은 공부를 인생의 최대의 목표로 생각했으며, 이들이 가지고 있는 단 하나의 교과서 및 생활 지침서가 바로 탈무드이다.
    5) 전 세계  1,400만 명에 인구수에 불과한 유대인은  탈무드를 어릴 때부터 교육받으며 성장했고,
  그 결과 세계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과학, 예술에 지대한 공헌을 하는 수많은 인재들을 배출해 냈다.
2.탈무드의 탄생
    1) 토라(Torah,모세오경,모세율법,규율,율법,구약성서 첫 다섯편)  : 유태인은  구전(口傳) 토라에 의한 도덕적,규율적 생활을  하였음
    2) 미쉬나(Mishna) : 유태인의  구전(口傳) 토라를 기록한 종교적 책 (200년경 히브리어로 기록)
    3) 게마라(Gemara) : 미쉬나(Mishna)로 알려진 유대교 율법 수집본에 대한 주석,해설과 토론을 정리 (500년경 아람어로 기록)
    4) 탈무드(Talmud) 미쉬나(율법) 와 게마라(미쉬나에 대한 해설과 토론)를  집대성한 책이다.
3.탈무드 편찬역사 
   1) 기원전 500년~ 기원 500년 : 규율이 구전에 의해 전해짐
  2) 200년경 : 미쉬나(규율) 정리
  3) 500년경 : 게마라(미쉬나에 대한 해설과 토론) 정리
  4) 약 4세기 말경  :  팔레스타인 탈무드 (예루살렘 탈무드) 편찬
  5) 약 6세기 경  : 바빌로니아 탈무드  편찬 - 팔레스타인 탈무드 보다 방대하며 중요
  6) 1244년 : 파리에 있던 모든 '탈무드'가 기독교인들에 의해 몰수되어 24대의 수레에 실린 채 불태워 없어졌다
  7) 1263년  :  기독교와 유태인 대표들이 자리를 같이 하고'탈무드'과연 기독교의 교리에 상반되는 것인가에 대해 토론함.
  8) 1334년  :  손으로 쓴 탈무드가 현재 가장 오래된 것
  9) 1415년  : 교황 베네딕트 13세가 유태인들의 '탈무드'를 법령으로 금지
  10) 1482년  : 스페인에서 '바빌로니아 탈무드' 처음  인쇄
  11) 1484~1519년  : 이태리 에서 인쇄본으로  출간
  12) 1520년  :  로마에서 모든 '탈무드'가 압수되어  불태워 없어졌다.
  13) 1523년  :  베네치아에서 '팔레스타인 탈무드' 처음 인쇄
  14) 1562년  :  기독교의 교회측이'탈무드'를 검열하여 부분 부분을 삭제해 버렸기 때문에 오늘의 '탈무드'는 완전한 내용의 것이 아니다
  15) 1880년  : 유태 학자들에 의한 개정판
  16) 1948년 : 이스라엘이 건국된 이래 탈무드 적극 관심.

4.탈무드 구성    
   1) 탈무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a.
할라카(halacha)
         -
모세오경(토라,모세율법) 의 해석 부분이며 약 2/3를 차지
        
- 율법을 엄격하게 적어 놓아 인간의 모든 행동을 거룩하게 만들기 위한 유태인의 생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
제사,건강,예술,식사,대화,인간관계 등 모든 생활을 규정하고 있다.
      b.
아가다(agAD a)
         -
조상들의 지혜및교훈 모음이며 1/3를 차지
        
- 랍비들의 성경 해석(설명)에서 추출하거나 랍비와 유대 영웅들의  여러 이야기를 통해 풀어놓은 교훈이다.
         -
철학,역사,도덕,,격언,성서해설,과학,의학,수학,천문학,심리학,형이상학 등 인간의 모든 지식이 포함되어 있다.
    2)
탈무드는 6, 63, 525, 4,187절로 되어 있다.
          6
부는 모두 농업, 제사, 여자, 민법, 사원, 순결, 불순 으로 구성 되어 있다.
         
권수로 모두 20권이며,12,000페이지에다 단어의 수만도 무려 250여 만개 이상이며, 그 무게가 75킬로그램이나 나가는 엄청난 분량의 책이다
   3) 탈무드 제1권 1페이지는 백지이고 2페이지부터 시작한다.
       항상 반복하여 읽는 책이라는 의미이다.
      1은 시작을 의미하고. 탈무드는 시작도 없고 끝도 없다. 

   4) 탈무드는 대략 2,000명 정도의 랍비들이 정리하였다. 거의 600년 걸려서 완성하였고 베껴 쓰는 데만 100년 걸렸습니다.
큰 절판 소인쇄체로 3만 페이지에 달하고 있다. 적어도 100만 단어가 들어 있다.
   5) 유대 생활의 건강, 의약, 법률, 윤리, 종교적 실행, 역사, 전기, 천문학, 생물학, 자선등 모두가 망라되어있는 백과사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