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한자 시험 준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한자 시험 준비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0년 10월 28일 목요일

한자를 공부하는 방법

1.한자 교재,입문서에 대한 설명
  1) 천자문(千字文)
    a. 중국 양(梁)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무제(武帝)의 명으로 지은 책.
    b. 1구 4자로 250구, 모두 1,000자로 된 고시(古詩)이다.
    c. 하룻밤 사이에 이 글을 만들고 머리가 허옇게 세었다고 하여 ‘백수문(白首文)’이라고도 한다.
    d. 한자를 배우는 입문서

 2) 사자소학(四字小學)
    a. 우리나라에서 편찬(編纂)된 『사자소학(四字小學)』은  송나라 학자 주희가 짓고  유자징이 편찬했던 『소학(小學)』을 바탕으로 하여 엮은 책(冊)임.
    b. 소학과 기타 경전의 내용을 알기 쉽게 생활한자로 편집한 한자의 입문서
    c. 어린이들이 실천할 수 있는 소중한 행동 철학을 4자씩 묶어서 한자와 한문의 기초과정을 위하여 만든 내용으로 실천 중심의 간결한 문구로 되어 있습니다.
    d. 한국에서는 조선 초기부터 중요하게 다루어져 사학(四學)·향교·서원·서당 등 모든 유학 교육기관에서 필수과목.
    e. 조선시대 사대부의 8세 전후의 아이들이 배우던 수신서(修身 書)  이며
       유학의 초보로 배워 조선시대의 충효사상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 윤리관을 보급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f. 사자소학은
         첫째 부모에 대한 효도  '효행(孝行)'편
         둘째 부부와 형제의 우애 '부부/형제(夫婦/兄弟)'편
         셋째 스승과 제자의 도리 '사제(師弟)'편
         넷째 친구사이의 의리 '붕우(朋友)'편
         다섯째 스스로의 몸가짐과 수양  '수신(修身)'편
      으로 나누었다.
    g. 현재 통용되고 있는 책은 네 글자의 구절 256개와 1024자 본과, 320구절 1280자 본, 그리고 400구절에 1600자 본이 있습니다.

 3) 명심보감(明心寶鑑)
   a.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b. "마음을 밝히는 보배로운 거울"이란 뜻의 명심 보감은 인간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격언과 윤리도덕 및 처세에 관한 예지와 자기 수양의 방도를 수록한 교양필독서이다.
   c.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소학(小學)
   a. 중국(中國) 송(宋)나라 유학자(儒學者) 주희(朱熹)가 짓고  그 제자(弟子) 劉子澄(유자징)이 이어서 편찬(編纂)한 초학 교재(敎材).
   b. 內篇(내편)ㆍ外篇(외편) 모두 6편으로 되어 있다.
       내편은 立敎(입교)ㆍ明倫(명륜)ㆍ敬身(경신)ㆍ稽古(계고)로 나뉘고
       외편은 嘉言(가언)ㆍ善行(선행)으로 나뉘어 있다.
   c.孝(효)ㆍ弟(제)ㆍ忠(충)ㆍ信(신) 등(等) 사람의 도리(道理)와 수신의 절차(節次)가 기록(記錄)되어 있음

 5) 사서오경(四書五經) 또는 사서삼경(四書三經)
   a. 유교의 경전으로, 경전 중에 가장 핵심적인 책이다.
   b. 고대 중국의 자연현상 및 사회생활의 기록이며, 제왕의 정치, 고대의 가요, 가정생활, 공자가 태어난 노(魯)나라 역사 등의 기록이다.
   c. 사서는 논어(論語),맹자(孟子),대학(大學),중용(中庸)을 말한다.
      삼경은 시경(詩經),서경(書經),역경(易經)을 말한다.
      삼경에 춘추(春秋),예기(禮記)  합해 오경이라 부르고, 합해서 사서오경이라 부른다.

2.예전 서당에 한자 학습의 순서
   1) 입문 : 천자문,유합,사자소학,추구
   2) 초급 : 계몽편 ,동몽선습,격몽요결,명심보감
   3) 중급 : 소학,십팔사략,통감절요
   4) 고급 : 대학,논어,맹자,중용, 시경,예기,서경,역경,춘추

   ※ 초급 '명심보감'까지가 한문독해력의 50% 완성이고 고급 '중용'까지 하면 한문독해력의 거의대부분을 할수 있고 그 이후는 고문의 격식과 아름다움을 공부하게 된다.

한자란 무엇인가?

1.한자의 발생
    1) 한자는 창힐이라는 사람이 사물의 모양이나 새와짐승의 발자국을 본떠 한자를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2) 그러나 창힐에 대하여 세 가지의 설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는 창힐을 상고의 제왕(帝王)으로 보는 견해,
        둘째는 황제(黃帝)의 사관(史官)으로 보는 견해,
        셋째는 시대의 의인화(擬人化)로 보는 견해인데,
     이 중에서 황제의 사관으로 보는 둘째 견해가 널리 알려진 것이다.
   3) 실존하는 자료로서 가장 오래된 문자는 1903년 은허(殷墟)에서 출토된
        은대(殷代)의 갑골문자(甲骨文字)가 있다.
   4) BC 14세기∼BC 12세기에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문자는 당시의 중대사(重大事)를
        거북의 등이나 짐승 뼈에 새겨 놓은 실용적인 것이었다
2.한자의 특성
  한자는 글자마다 어떤 뜻을 가지고 있는 '뜻 글자','표의문자' 이다.
  한자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이기 때문에 글자마다 그 뜻을 가지고 있다.

3.한자 3요소
  한자는 모양(형태),뜻(훈),소리(음) 의 3요소를 가지고 있다.

4.한자 형성과정에 따른 분류
  1) 상형문자 : 한자의 가장 처음 형태로, 자연이나 사물의 생김새를 흉내내서 만든 글자.
                예) 뫼 산(山), 내 천(川), 새 조(鳥)
 2) 지사문자 : 추상적인 대상을 기호화
                예) 상(上)과 끝 말(末)
 3) 회의문자 :  두 개 이상의 한자를 모아서 새로운 뜻을 만든 글자
                예) 사람(人)과 말(言)을 합하여 사람의 말은 중요하다는 믿을 신(信)자를 만들었다.
 4) 형성문자 : 형태(形)와 소리(聲)를 적절히 합하여 새로운 뜻을 갖는 글자를 만든 것
                예) 간(肝)은 신체 등을 뜻하는 고기 육(肉, 변에서는 月(육달월)처럼 쓰인다) 자  와 같은 발음을 갖는 방패 간(干)을 합한 것이다.
 5) 전주문자 : 한자의 널리 쓰이는 뜻이 시대가 바뀌어 더 확장된 뜻을 갖는 글자이다.
 6) 가차문자 : 뜻은 생각하지 않고 음만 빌려 쓴 것을 말한다.

5.한자를 쓰는 순서(필순)
    1) 위에서 아래로 쓴다.  三 (석 삼)
   2)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川 (내 천)
   3) 가로획,세로획이  교차때는 가로획을 먼저 쓴다. 十(열 십)
   4) 좌우대칭일때,가운데 획을 먼저 쓴다  小(적을 소)
   5) 가운데를 꿰뚫는 세로획은 맨 나중에 쓴다  中(가운데 중)
   6) 안쪽을 둘러싼 몸(둘레)이 있을때는 몸을 먼저 쓴다.  同(한가지 동)
   7) 삐침을 먼저 쓰고 파임을 나중에 쓴다. 文(글월 문)
   8) 좌우로 꿰뚫는 가로획은 맨 나중에 쓴다. 女(계집녀)
   9) 아래를 에운 획은 나중에 쓴다. 也(어조사 야)
   10) 삐침은 먼저 쓰는 것과 나중에 쓰는 것이 있다.
        먼저 쓰는 것-가로획이 길고 왼쪽 삐침이 짧으면 왼쪽 삐침부터 쓴다.  九(아홉 구)
        나중에 쓰는것-가로획이 짧고 왼쪽 삐침이 길면 가로획부터 쓴다. 力(힘 력)
   11) 오른쪽 위의 점은 맨 나중에 쓴다. 犬(개견)
   12) 받침은 맨 나중에 쓴다. 近(가까울 근)

6.한자의 부수
 1) 한자의 여러 글자에 같이 쓰이는 기본글자이다.
 2) 모두 214개의 부수 글자가 있는데 위치에 따라 7가지로 이름이 바뀐다.
    - 변 : 부수가 왼쪽에 있을때 海(바다 해)
    - 방 : 부수가 오른쪽에 있을때 朝(아침 조)
    - 머리 : 부수가 위에 있을때  安(편안 안)
    - 엄호 : 부수가 위와 왼쪽을 싸고 있을때  病(병들 병)
    - 받침 : 부수가 왼쪽과 밑에 있을때. 道(길 도)
    - 발 : 부수가 밑에 있을때 忠(충성 충)
    - 몸 : 전체를 에워 쌀때 國(나라 국)
      몸 : 옆쪽으로 에워 쌀때 區(구역 구)
      몸 : 위쪽으로 에워 쌀때  間(사이 간)
      몸 : 좌우로 에워 쌀때 術(재주 술)

2010년 10월 20일 수요일

한자 시험에 대하여

  1) 한자를 공부하는 이유
   - 한자에 대한 이해, 실생활에서의 한자 활용 능력, 어휘력, 교과서 한자등을 평가
   - 공부하면서 언어능력 및 문장 구성능력,사고력과 어휘력을 향상시킵니다.
   - 초ㆍ중등학교 교과서에 자주 나오는 한자어를 평가
   - 시험대비 과정을 통해 어려운 어휘에 대한 이해력을 높여 학교에서의 학업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2) 한자시험 공인급수에 대한 우대사항
   - 자격기본법 제27조에 의거 국가자격 취득자와 동등한 대우 및 혜택을 받습니다.
   - 교육과학기술부 훈령 제158호에 의거 학교생활기록부 '자격증및인증 취득상황'에 등재(고등학생에 한함), 입시에 활용됩니다.
   - 경제5단체, 신입사원 채용 때 한자시험을 응시 권고하고 있습니다

  3) 한자시험 특징
   - 시행처별 공인급수,민간자격이 있으므로 유의해서 시험을 봐야 합니다.
   - 시행처별 공인급수별로 한자수가 다르므로 유의해서 공부를 해야 합니다.
   - 상위급수의 한자수는 하위 급수의 한자들을 전체또는 일부 포함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7급 배정한자 150자는 8급배정한자 50자+ 7급 신습한자 100자이다
   - 급수의 쓰기 배정 한자들은 한두단계 아래 급수의 읽기 배정한자를 쓰기 한자로 이용한다.
        예를 들어 한자급수 4급의  쓰기한자 100자는  5급의 읽기한자 150자의 일부이다.
   - 따라서 3급을 볼경우 3급 아래의 한자(4급~8급)들도 대부분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시행처별로  출제기준이 다를수 있습니다.
       보통 출제기준 : 독음,훈음,한자쓰기,부수,필순,장단음,반의어,상대어,동의어,유의어,동음이의어,뜻풀이,약자,완성형
   - 실제 시험은 급수별 배정한자및 고사성어,한자용어에서도 출제될수도 있으므로 같이 공부를 해야 한다.

  4) 한자시험 시행처및 시험 종류
   ▷ 한국어 문회 : 한자능력검정시험 , http://www.hanja.re.kr/
      - 공인급수 : 특급(3500자),특급II(4918자),1급(3500자),2급(2355자),3급(1817자),3급II(1500자)
      - 교육급수 : 4급, 4급II,5급, 5급II,6급,6급II,7급,7급II,8급

   ▷ 한자교육진흥회 : 한자자격시험 , http://kaphe.hanja114.org/
      - 국가공인급수 : 사범(5000자),1급(3500자), 2급(2300자),3급(1300자)
      - 교양한자급수 : 준3급,4급,준4급,5급, 준5급, 6급,7급,8급

   ▷ 한국평생교육평가원 : 한국한자검정 , http://www.kpe.or.kr/ 
      - 공인급수 : 한자 1급(3500자),한자 2급(2500자),한자 3급(1800자),한자 준3급(1500자)
      - 교양한자급수 : 한자 4급,한자 준4급,한자 5급,한자 준5급,한자 6급,한자 7급,한자 8급

   ▷ 한국외국어평가원 : 실용한자검정시험, http://www.pelt.or.kr/
      - 공인급수 : 한자 1급(3500자),한자 2급(2500자),한자 3급(1850자),한자 4급(1500자

   ▷ 대한검정회 : 한자급수자격검정 , http://www.hanja.ne.kr/
      - 국가공인자격 : 사범(5000자),1급(3500자),준1급(2500자),2급(2000자),준2급(1500자)
      - 민간자격 : 준사범,3급,준3급,4급,준4급,5급,준5급,6급,7급,8급

   ▷ 한국한자한문능력개발원 : 한자능력자격검정,http://www.hanja4u.org
      - 공인급수 : 1급(3500자),2급(2350자),준2급(1800자),3급(1500자)
      - 교육급수 : 4급,5급,6급,7급,8급

   ▷ 대한상공회의소 : 상공회의소 한자 , http://license.korcham.net/eximinfo/guide/guide_view.jsp?flag=0401
      - 국가공인 : 1급(4908자),2급(1800자),3급(1800자)
      - 민간자격 : 4급,5급,6급,7급,8급,9급
     
※ 시행처별로 급수,시험 유형이 변동이 있을수 있으므로 각 홈페이지에서 확인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