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10월 28일 목요일

한자를 공부하는 방법

1.한자 교재,입문서에 대한 설명
  1) 천자문(千字文)
    a. 중국 양(梁)나라의 주흥사(周興嗣)가 무제(武帝)의 명으로 지은 책.
    b. 1구 4자로 250구, 모두 1,000자로 된 고시(古詩)이다.
    c. 하룻밤 사이에 이 글을 만들고 머리가 허옇게 세었다고 하여 ‘백수문(白首文)’이라고도 한다.
    d. 한자를 배우는 입문서

 2) 사자소학(四字小學)
    a. 우리나라에서 편찬(編纂)된 『사자소학(四字小學)』은  송나라 학자 주희가 짓고  유자징이 편찬했던 『소학(小學)』을 바탕으로 하여 엮은 책(冊)임.
    b. 소학과 기타 경전의 내용을 알기 쉽게 생활한자로 편집한 한자의 입문서
    c. 어린이들이 실천할 수 있는 소중한 행동 철학을 4자씩 묶어서 한자와 한문의 기초과정을 위하여 만든 내용으로 실천 중심의 간결한 문구로 되어 있습니다.
    d. 한국에서는 조선 초기부터 중요하게 다루어져 사학(四學)·향교·서원·서당 등 모든 유학 교육기관에서 필수과목.
    e. 조선시대 사대부의 8세 전후의 아이들이 배우던 수신서(修身 書)  이며
       유학의 초보로 배워 조선시대의 충효사상을 중심으로 한 유교적 윤리관을 보급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f. 사자소학은
         첫째 부모에 대한 효도  '효행(孝行)'편
         둘째 부부와 형제의 우애 '부부/형제(夫婦/兄弟)'편
         셋째 스승과 제자의 도리 '사제(師弟)'편
         넷째 친구사이의 의리 '붕우(朋友)'편
         다섯째 스스로의 몸가짐과 수양  '수신(修身)'편
      으로 나누었다.
    g. 현재 통용되고 있는 책은 네 글자의 구절 256개와 1024자 본과, 320구절 1280자 본, 그리고 400구절에 1600자 본이 있습니다.

 3) 명심보감(明心寶鑑)
   a.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b. "마음을 밝히는 보배로운 거울"이란 뜻의 명심 보감은 인간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격언과 윤리도덕 및 처세에 관한 예지와 자기 수양의 방도를 수록한 교양필독서이다.
   c.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소학(小學)
   a. 중국(中國) 송(宋)나라 유학자(儒學者) 주희(朱熹)가 짓고  그 제자(弟子) 劉子澄(유자징)이 이어서 편찬(編纂)한 초학 교재(敎材).
   b. 內篇(내편)ㆍ外篇(외편) 모두 6편으로 되어 있다.
       내편은 立敎(입교)ㆍ明倫(명륜)ㆍ敬身(경신)ㆍ稽古(계고)로 나뉘고
       외편은 嘉言(가언)ㆍ善行(선행)으로 나뉘어 있다.
   c.孝(효)ㆍ弟(제)ㆍ忠(충)ㆍ信(신) 등(等) 사람의 도리(道理)와 수신의 절차(節次)가 기록(記錄)되어 있음

 5) 사서오경(四書五經) 또는 사서삼경(四書三經)
   a. 유교의 경전으로, 경전 중에 가장 핵심적인 책이다.
   b. 고대 중국의 자연현상 및 사회생활의 기록이며, 제왕의 정치, 고대의 가요, 가정생활, 공자가 태어난 노(魯)나라 역사 등의 기록이다.
   c. 사서는 논어(論語),맹자(孟子),대학(大學),중용(中庸)을 말한다.
      삼경은 시경(詩經),서경(書經),역경(易經)을 말한다.
      삼경에 춘추(春秋),예기(禮記)  합해 오경이라 부르고, 합해서 사서오경이라 부른다.

2.예전 서당에 한자 학습의 순서
   1) 입문 : 천자문,유합,사자소학,추구
   2) 초급 : 계몽편 ,동몽선습,격몽요결,명심보감
   3) 중급 : 소학,십팔사략,통감절요
   4) 고급 : 대학,논어,맹자,중용, 시경,예기,서경,역경,춘추

   ※ 초급 '명심보감'까지가 한문독해력의 50% 완성이고 고급 '중용'까지 하면 한문독해력의 거의대부분을 할수 있고 그 이후는 고문의 격식과 아름다움을 공부하게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